년도 | 논문발표자 | 발표장소(국내외)등 | 논문제목 |
---|---|---|---|
2003년 | 경희대 김형민 교수 | 면역약리학 및 면역독성학회지(S.C.I) | 한국전통약, 자죽염의 항염증효과 |
2004년 | 경희대 김형민 교수 외 | S.C.I(과학기술색인지수)민속약물 학회지 | 자죽염의 비만세포의존성 즉시형 과민반응 억제효과 |
2008년 | 정종희 박사 | 대한 암예방 학술지 | 인간 뇌세포 U373MG에 대한 자죽염의 ROS 억제와 항산화 효과 |
2010년 | 한양대 엄애선 교수 | 대한 독성유전·단백체학회 | 장염균에 대한 죽염의 내재적 향균작용 |
2012년 | 경희대 김형민, 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S.C.I (Food Chem Toxicol) | 죽염은 식품 화학 독소인 OVA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 마우스 모델에서 카스파 제 1활성화를 조절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시킴 |
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S.C.I (Bull Korean Chem Soc) | Estertin(IV) 합성의 가수분해에 있어서 죽염의 효과 | |
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|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 | |
2013년 | 경희대 김형민 교수 외 | TANG HUMANITAS MEDICINE | 놀랍게도, 다른 염과는 달리 기존의 보라색 자죽염은 쥐에서 특성상 고혈압을 유발하지 않음. |
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S.C.I (Bull Korean Chem Soc) | 유기 트라이 에스테르 화합물의 가수분해에 있어서 죽염효과의 통찰 | |
경희대 김형민, 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S.C.I (J Environ Pathol Toxicol Oncol) | 항 돌연변이 활성 및 HepG2 인간 간암세포에 죽염의 생체 외 항암효과 | |
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S.C.I (J Med Food) | 죽염은 HCT-116 세포에서 생체외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, 생체내에서 항 전이 효과를 발휘 | |
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S.C.I (Nutr Res Pract) | 죽염은 흰쥐에서 CC14의 유도로 간 손상을 감소시킴 | |
경희대 김형민 교수 외 | S.C.I (Exp Biol Med) | 알레르기성 비염 모델에서 감귤 sunki와 죽염(K-ALL)의 항 알레르기 메커니즘 | |
2014 | 경희대 김형민, 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S.C.I (J Med Food) | 알레르기 비염의 세포모델에 있어서 죽염 감소프로-염증 반응에 의한 IL-32 신호 전달의 억제 |
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대한 암예방 학술지 | 복분자 죽염의 대장암 억제효능 | |
부산대 박건영 교수 외 |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| 구강협막암에 대한 자죽염의 항암효능 | |
2015 | 부산대 박건영 교수 (주)삼보죽염 김인석 대표 외 | 한국식품영양과학 학회지 | 죽염된장의 항산화 및 HT-29 암세포에서 in vitro 항암효과 |
2016 | 부산대 박건영 교수 | 의약음식학회지 (Journal of medicinal food) | 천일염과 죽염의 C57BL/6J mice에서의 비만 및 대장암 억제효과 |
R/D선도기업
삼보죽염.
삼보죽염은
기능성 연구 사업의
참여업체로 선정되었으며
기능형 자죽염으로
가족의 건강을 지켜드립니다.
기간 : 2013.12~2020.11 (진행중)
연구책임자 : 함경식, 박건영, 김형민 교수
연구과제금액 : 868,000,000원
연간 1억2천400만원(7년)
기간 : 2011.07~2013.06 (완료)
연구책임자 : 김형민, 박건영 교수
연구과제금액 : 349,000,000원
연간 1억7천450만원(2년)
약학박사 / 의학박사 /현,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
국제 SCI급 논문
: "알레르기성 비염 모델에서 감귤 Sunki와 죽염(K-ALL)의 항 알레르기 메카니즘" 외 500여편 발표
국내 논문
: "자죽염의 비만세포 의존성 즉시형 과민반응 억제효과" 외 100여편 발표
못을 이용한 산화 환원력 실험
죽염의 ORP 및 pH
죽염은 체질개선의 강자 pH13범위의 강알칼리
주요식품, 물 등의 산화력과 환원력
산화력 있는 식품을 환원력 있는 식품으로 만들기